제럴드 와인버그를 애도하면서 ....
<프로그래밍 심리학>으로 널리 알려진 제럴드 와인버그가 지난 8월 7일 사망하였습니다.
향년 85세구요..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공학을 바라본 선지자로써, 심리학자 이기도 했습니다. 1956년 IBM의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했으며 컴퓨터 명예의 전당 원년 5인에 헌액되었으며, 40여권의 책을 썼씁니다.
우리나라에 번역된 책은 다음의 다섯권 인거 같습니다.
사티어의 글쓰기를 활용한 글쓰기 세미나와 개인교습으로 글쓰기 교습을 했다는 점이 참 특이하죠.
제럴드 와인버그가 했던일을 좀더 전문적으로 표현하면 인간과 컴퓨터의 프로그래밍 상호작용을 경험적 방법론(empirical studies of programming:ESP)로 접근한 것이라고 볼수 있는데요. 경험주의는 교육학이나 심리학에서 일반화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습니다.
컴퓨터 발전 초기에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을 내성법을 활용하여 보려고 하기도 했는데요. 컴퓨터 기술자가 정신역동 계열의 심리학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웠겠습니다. ~~
국내에서는 신문에 사망기사 하나 없네요. ㅜㅜ
제럴드 와인버그을 에도하면 한주를 보낼까 합니다. ~~
향년 85세구요..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공학을 바라본 선지자로써, 심리학자 이기도 했습니다. 1956년 IBM의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했으며 컴퓨터 명예의 전당 원년 5인에 헌액되었으며, 40여권의 책을 썼씁니다.
우리나라에 번역된 책은 다음의 다섯권 인거 같습니다.
사티어의 글쓰기를 활용한 글쓰기 세미나와 개인교습으로 글쓰기 교습을 했다는 점이 참 특이하죠.
제럴드 와인버그가 했던일을 좀더 전문적으로 표현하면 인간과 컴퓨터의 프로그래밍 상호작용을 경험적 방법론(empirical studies of programming:ESP)로 접근한 것이라고 볼수 있는데요. 경험주의는 교육학이나 심리학에서 일반화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습니다.
컴퓨터 발전 초기에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을 내성법을 활용하여 보려고 하기도 했는데요. 컴퓨터 기술자가 정신역동 계열의 심리학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웠겠습니다. ~~
국내에서는 신문에 사망기사 하나 없네요. ㅜㅜ
제럴드 와인버그을 에도하면 한주를 보낼까 합니다. ~~
댓글
댓글 쓰기